김우중: "세계경영을 하더라도 제조업의 핵심은 국내에 두자는 것이 내 생각이었다. 당시에 우리는 기술 개발, 핵심 원자재, 부자재 관리는 국내에서 했다."
김우중: "세계경영의 중심은 어디까지나 한국이었다."
김우중: "값싼 노동력을 이용한 조립 가공만 해외에서 했을 뿐이다. 즉, 무역 관세를 뛰어넘기 위한 전략이 세계경영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덕분에 실제로 대우는 폴란드,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 등의 동구권과 중앙아시아 등에 진출을 했고,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도 합니다.
다만, 방만 경영을 했기 때문에, 대우에 위기가 닥쳤을 때, 이런 해외 계열사들은 별 도움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짐이 되었던 것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대우가 구축해 놓았던 인프라에 대하여 무척 아쉬워 합니다.
당시 대우를 살리기만 했어도, 이것이 온전히 우리의 것이 되었고, 지금과 같은 저성장 기조로, '청년 백수들'이 고통을 받는 시대는 오지 않았을 거라는 주장이죠.
사실 이런 주장은 일부 맞는 말입니다.
'경제인 이야기 > 김우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우 몰락은 국민들에게 축복 (2) | 2017.06.08 |
---|---|
만약 대우가 해체되지 않았다면 (0) | 2017.06.06 |
말년에 정신차린 김우중 (0) | 2017.06.05 |
김우중 베트남 프로젝트 평가 (2) | 2017.06.04 |
김우중 근황과 베트남 사관학교 (0) | 2017.06.03 |
해외에 숨겨놓은 김우중 집안의 재산 (0) | 2017.06.02 |
김우중 재산과 추징금의 의미 (1) | 2017.06.01 |
김대중은 무능력했나, 몰염치했나 (1) | 2017.05.31 |
김우중의 남포공단, 김대중의 개성공단 (1) | 2017.05.30 |
대우조선해양 분식회계는 이명박 박근혜 정권에서 (0) | 2017.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