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원찬 제주일자리창출위원회 공동위원장
"베트남의 경우 우리나라 기업이 4000개 정도 진출해 있다. 그런데 거기 진출 업체들은 거기서 필요한 인원들을 주재원으로 두는 대신 GYBM 출신을 채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김우중: "(더 이상 대우그룹 회장으로) 재기할 생각은 없다."
이처럼 김우중은 더 이상 대우에 대하여 미련을 갖지 않고 후학들을 양성하기 위하여 마지막 혼을 불사르고 있습니다.
사실 분식회계만 하지 않았더라면, (대우가 망했든 어쨌든) 김우중은 여전히 존경받는 기업가로 기억되고 있었을 겁니다.
'대우 해체'가 김대중 정권의 경제 관료들의 '기획 해체'라는 과거의 주장에 대해서는 공개적으로 반성을 하고, 이처럼 후학을 키우는 사업에 몰두하게 된다면, 김우중이 '아름다운 이름'을 남기는 것도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 같네요.
그런데 역사에 가정은 없지만, 만약 대우가 1998년에 해체가 되지 않았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
'경제인 이야기 > 김우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우 몰락은 국민들에게 축복 (2) | 2017.06.08 |
---|---|
김우중의 세계경영이 성공했다면 (0) | 2017.06.07 |
만약 대우가 해체되지 않았다면 (0) | 2017.06.06 |
김우중 베트남 프로젝트 평가 (2) | 2017.06.04 |
김우중 근황과 베트남 사관학교 (0) | 2017.06.03 |
해외에 숨겨놓은 김우중 집안의 재산 (0) | 2017.06.02 |
김우중 재산과 추징금의 의미 (1) | 2017.06.01 |
김대중은 무능력했나, 몰염치했나 (1) | 2017.05.31 |
김우중의 남포공단, 김대중의 개성공단 (1) | 2017.05.30 |
대우조선해양 분식회계는 이명박 박근혜 정권에서 (0) | 2017.05.29 |